본문 바로가기

Development

(26)
[VPN] iptime으로 홈 서버 구축 시나리오 정리 🏠 홈 서버 구축: VPN + SSH 개발 환경 + HTTPS Web 서버 설정이 문서는 VPN을 활용한 안전한 원격 개발 환경과 개인 웹 서버 구축 방법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설정을 완료하면, 외부에서 VPN을 통해 안전하게 홈 서버에 접속하고 개발하며, 개인 HTTPS 웹 서버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 1. VPN 환경 설정홈 서버가 공인 IP 없이도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ipTIME 공유기의 VPN을 설정합니다.1️⃣ ipTIME 공유기에서 DDNS 설정 (외부 접속 주소 만들기)웹 브라우저에서 http://192.168.0.1 접속 (ipTIME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고급 설정 → 특수 기능 → DDNS 설정 이동"ipTIME DDNS 사용" 활성화원하는 도메인 입력 (예: myserv..
[Laboratrix] - Application 정의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Git] 실제로 경험해 본 Git-Flow에 대한 정리 * 목차 - Intro - 필자가 사용한 Git-Flow 전략 - Git-Flow 예시   - Case1. Pull Request   - Case2. Release   - Case3. Hotfix - 마치며   Introgit은 소스 코드 형상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 Tool입니다. git을 잘 사용한다면 개발자들 간의 협업을 용이하게 해주며 다양한 변경사항에 대한 추적 관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습니다. git 자체는 Tool이므로 어떤 전략에 따라 사용하느냐, 어떤 git Repository Service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Process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요소는 Project의 크기입니다. Project의 크기가 크다 ..
[Laboratrix] 6 - Code Repository : AWS Codecommit * 목차 - Intro - CodeCommit - 사전 요구사항 - git 자격 증명 - repository 복제 - git push - Outro  Intro지난 시간에는 Unittest까지 작성을 완료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 code를 가지고 형상관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ode repository 많이 활용되는 github 대신 aws에서 service하는 CodeCommit을 활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CodeCommitgit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github를 사용하고 계실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AWS에 Application Infra 구축을 하기 위해 AWS에서 사용하는 CodeCommit을 사용하려 합니다. AWS CodeCommit은 AWS에서 제공하는 완전 관리형 Gi..
[Laboratrix] 5 - Backend API Unit Test * 목차 - Intro - Unit Test 간단 설명 - Unit Test Code 작성 - Outro  Intro이전 글에서는 Fastapi를 활용해서 Backend API를 만들어 봤습니다. [Laboratrix] 4 - FastAPI로 CRUD 동작 구현하기Intro이전 시간에는 Docker Compose로 Backend 개발 환경을 구성했었습니다. [Laboratrix] 3 - Docker Compose로 backend 개발 환경 구성* 목차 - Intro - Install Docker Desktop - Install vscode - Container 접속 - Docker Containertyoon9781.tistory.com 하지만 그것가지고는 그림을 완성할 수 없습니다. Unit Test를 ..
[Laboratrix] 4 - FastAPI로 CRUD 동작 구현하기 Intro이전 시간에는 Docker Compose로 Backend 개발 환경을 구성했었습니다. [Laboratrix] 3 - Docker Compose로 backend 개발 환경 구성* 목차 - Intro - Install Docker Desktop - Install vscode - Container 접속 - Docker Container에서 FastAPI 실행 - DB Container Connection - OutroIntro이전 글에서는 Route53에서 도메인을 구매했었습니다.  [Laboratrix] 2 - AWStyoon9781.tistory.com 이번에는 Backend의 기본 동작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Item의 CRUD 동작을 만들어 보려 합니다. 적어도 unittest는 돌릴 수 있는 ..
[Laboratrix] 3 - Docker Compose로 backend 개발 환경 구성 * 목차 - Intro - Install Docker Desktop - Install vscode - Container 접속 - Docker Container에서 FastAPI 실행 - DB Container Connection - OutroIntro이전 글에서는 Route53에서 도메인을 구매했었습니다.  [Laboratrix] 2 - AWS Route53에서 도메인 구매Intro이전글에서는 간단한 Side Project의 성격인 Laboratrix.com이라는 간단한 소개와 Architecture를 설명드렸습니다. [Laboratrix] 1 - ArchitectureIntro오랜만의 글입니다. 이번 Series의 이름은 Laboratrix입니다. Latyoon9781.tistory.com  이번에는 ..
[Laboratrix] 2 - AWS Route53에서 도메인 구매 *목차 - Intro - AWS Route53 접속 - Domain 구매 - OutroIntro이전글에서는 간단한 Side Project의 성격인 Laboratrix.com이라는 간단한 소개와 Architecture를 설명드렸습니다. [Laboratrix] 1 - ArchitectureIntro오랜만의 글입니다. 이번 Series의 이름은 Laboratrix입니다. Laboratrix : Laboratory(실험실) + matrix(기반) 이름은 거창하게 지었지만 제가 Web으로 해보고 싶은 다양한 실험을 할 공간을 목표로 하는 Ptyoon9781.tistory.com  이 Project의 시작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무것도 없이 구간만 표현되어 있습니다. 시작은 아무것도 없이 숙제만 잔뜩 있는 것 같지만..
[Laboratrix] 1 - Start Side Project *목차 - Intro - CI/CD Architecture - Development - OutroIntro오랜만의 글입니다. 이번 Series의 이름은 Laboratrix입니다. Laboratrix : Laboratory(실험실) + matrix(기반) 이름은 거창하게 지었지만 제가 Web으로 해보고 싶은 다양한 실험을 할 공간을 목표로 하는 Project입니다. 이 Web Service의 제작기록을 남기면서 저 스스로에 대한 도움 뿐만 아니라 Web을 개발하는 많은 분들에게 기초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 Project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간단한 Web Service를 띄우기. - AWS를 적극 활용 - 개발 CI/CD를 간단하게 완성 - 혼자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는 수준의 크기 - ..
Python - 테트리스 만들기 Code 공유 (마지막) 꾸준하게 Python으로 Tetris를 만드는 과정을 단계별로 써보려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속도로 작성하다가는 100개 넘는 글을 써야 할 것 같고...그정도의 시간은 없다 판단되어 이 시점까지 작성한 코드를 그냥 공유하려 합니다. * 예전 글에 작성헀던 UI는 하나도 안썼다는건 안비밀...ㅠㅠ https://github.com/tyoon9781/tetris_python 혹시 이 코드로 숙제나 기타 좋은 곳에 쓰시는 분들은 별좀 눌러주세요ㅎㅎ 이것으로 Python tetris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